세션 진행방법
「마법학원 RPG 하베스트」의 세션은 프리 플레이-메인 플레이-애프터 플레이 라는 3가지 단계로 구성됩니다.
프리 플레이에 대하여
프리 플레이는 게임을 준비하는 단계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합니다.

1. 개요 (트레일러) 낭독
GM은 플레이하게 될 시나리오의 개요(트레일러)를 읽습니다.
개요란 앞으로 놀게 될 시나리오가 어떤 것인지 PL가 간략한 이미지를 갖도록 하기 위한 사전준비 입니다.

2. 핸드아웃 낭독과 배부
GM은 이어서 핸드아웃을 모두 읽습니다.
핸드아웃이란 PC의 사전설정으로 시나리오로부터 제시되는 것 입니다.
PL은 PC를 만들 때 반드시 핸드아웃 설정에 어긋나지 않도록 PC를 작성해야 합니다.
만약 핸드아웃 설정에서 변경하고 싶은 부분, 확인하고 싶은 부분이 있을 경우 이 타이밍에서 GM에게 반드시 확인하도록 합시다.

GM이 핸드아웃을 읽은 후 PL은 원하는 핸드아웃을 선택합니다.
이때 핸드아웃을 제3지망 정도까지 확인해 두면 좋습니다. GM이 원활하게 핸드아웃의 배포할 수 있습니다.

3. 캐릭터 작성
전원이 핸드아웃을 결정 한 뒤 PL은 각자 핸드아웃에 맞춰서 캐릭터를 작성합시다.
물론 GM이 허락한다면 이미 만든 캐릭터를 데리고 가도 상관없습니다.
캐릭터 작성에 한 자세한 내용은 캐릭터 파트를 참조 해 주세요.

4. 자기소개
전원이 PC를 작성했다면 자기소개를 합니다.
자기소개란 PL의 소개 뿐만 아니라 자신의 PC를 다른 PL에게 소개하는 것도 포함합니다.

자기소개에서는 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전달합니다.

PL의 자기소개
  1. 이름 (닉네임)
  2. TRPG 경력 (주력 시스템 등)
  3. 그 외 전하고 싶은 사항
※PL 전원이 이미 지인인 경우 PL의 자기소개는 생략해도 상관없습니다.

PC의 자기소개
  1. PL 이름
  2. 나이
  3. 성별
  4. 클래스
  5. 외관
  6. 성격
  7. 발동체
  8. 주 속성
  9. 그 외 전하고 싶은 사항
메인 플레이에 대하여
메인 플레이는 실제로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입니다.
메인 플레이는 GM이 준비한 시나리오에 따라 진행됩니다.

장면에 대하여
마법학원 RPG 하베스트의 시나리오는 기본적으로 「장면」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구분됩니다.
장면이란 영화의 컷과 같은 것으로 이야기 속에서 PC가 롤플레이를 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합니다.
기본 장면은 시나리오에 작성되어 있으며 시나리오가 규정하는 장면 중에서 PL은 롤플레이를 합니다.
단 시나리오에 작성되어 있지 않은 장면이라도 PL이 원하면 새로운 장면을 시나리오 중에 만들어 묘사 해 나갈 수 있습니다.

GM은 시나리오에 기재되어 있는 장면을 순서대로 묘사합니다.
GM은 장면 시작 전에 해당 장면에 등장하는 PC가 누구인지 읽어두면 좋습니다.
PL은 장면 묘사 중 원하는 타이밍에서 PC 롤 플레이를 할 수 있습니다.
대사나 동작 등을 말로 표현하여 GM이나 다른 PL에게 전달합시다.

GM이 장면 묘사를 모두 마치고 PL이 원하는 롤 플레이나 연출을 다 했을 경우 해당 장면이 종료됩니다.
이것을 반복하여 이야기를 진행합니다.

전투에 대하여
마법학원 RPG 하베스트에서는 기본적으로 시나리오 내에서 1~2번 전투가 발생합니다.
전투가 발생하면 전투 룰에 따라 전투를 진행하세요.
자세한 내용은 전투 룰 페이지를 참조해 주세요.

정보 수집에 대하여
시나리오 중 PC가 정보를 수집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이 장면을 「정보 수집 장면」 이라고 부릅니다.
정보 수집 장면에서는 「정보 항목」이라 불리는 PC에게 필요한 정보 다발이 있습니다.
GM은 먼저 정보 항목 제목을 읽어 PL에게 전달합니다.
그 뒤 PL 1명은 어떤 정보 항목을 조사할지 선언하고 리버럴 아츠 마법 판정에 도전합니다.
이때 어느 PL부터 정보 수집을 하던 상관없습니다.
또 정보 수집을 PL 전원이 실시하여 한 바퀴 돌면 또 먼저 하고싶은 PL부터 반복하여 똑같이 정보 수집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성공하여 해당 정보 항목에 적혀있는 정보를 GM에게 공개받을 수 있습니다.
이 행위를 반복하여 PC는 정보를 얻어갑니다.
이때 마법에 의한 연출을 묘사하면 정보 수집 장면을 상상하기 쉽습니다.

정보 수집에 PL이 계속 실패한다면 GM은 원하는 타이밍에 PC에게 패널티를 줄 수 있습니다.

패널티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PC 전원의 HP를 1D6 줄인다.
  2. PC 전원의 TP를 1D6 줄인다.
  3. 전원에게 [배드 스테이터스 : 쇠약] 레벨 1을 부여한다. (다음 전투의 첫 라운드 종료 타이밍에 해제됨)

쿨 드 삭에 대하여
마법학원 RPG 하베스트에서는 쿨 드 삭(cul-de-sac)이라 불리는, 마법이 발동하지 않으면 진행할 수 없는 장면이 존재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쿨 드 삭(cul-de-sac)에 대하여를 참조해 주세요.
애프터 플레이에 대하여
애프터 플레이는 게임을 놀고 난 뒤 즐겁게 돌아보는 단계입니다.
모든 장면을 묘사 한 뒤 GM은 시나리오 종료를 선언하고 애프터 플레이로 넘어갑니다.

애프터 플레이에서는 경험치 배포를 실시합니다.
경험치 배포와 성장에 따라 레코드 시트의 경험치표를 읽으며 PC1부터 차례대로 세션 내 활약을 되돌아봅시다.
이때 부정이나 비판은 하지 않고 좋았던 점을 계속 칭찬하도록 합시다.
전원 경험치 배포 종료 후 레코드 시트에 GM이 펜 등으로 사인을 해 주세요. 그리고 PL은 세션 시트에 각각 얻은 경험치를 기입합니다.

이것으로 세션이 종료됩니다.
이어서 후기 등으로 세션을 되돌아 보면 즐거울 겁니다.